본문 바로가기
햇볕같은이야기

또 하나의 손가락

by 최용우1 2010. 12. 13.

겨울풍경-사진:이데일리

□ 또 하나의 손가락

고려시대 지눌스님이 "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되 달이 손가락에 있지 않고, 말로 법을 설파하되 법이 말에 있지 않다"고 했습니다.
말은 말의 피상적인 의미가 아니라 그 이면에 전달하고자 하는 뜻을 파악해야 된다는 교훈입니다. "저것이 달이니라" 하고 달을 가리키면 달을 바라보이야 하는데, 손가락 끝만 바라보고 "달은 손가락처럼 생겼군요" 하면 정말 주먹으로 대갈통을 때려버리고 싶을 것입니다.
저는 처음에 이 이야기를 듣고 '정말 그렇구나, 그래 맞는 말이야!' 하면서 대갈통을 탁! 치며 감탄을 했습니다. 그러나 제가 그 뒤로 이제는 달을 보는 사람이 되었는가? 과연 이야기의 형식을 꿰뚫고 그 본질을 이해하는 능력이 생겼는가? 아닙니다. 손가락이 아니라 손가락이 가리키는 대상을 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았음에도 더 똑똑해지지도, 더 이야기의 핵심을 찾아내는 능력이 생긴 것도 아닙니다.
왜 그런가 대갈통 싸매고 생각해 보니 '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면 손가락을 보지말고 달을 보라'는 말이 또 다른 손가락이더라구요. '그래 맞아 참 좋은 이야기야 그렇게 해야 돼' 하고 생각하면서도 이제는 그 이야기만 재미있어하며 바라보고 있더라구요. 그러니 나라는 사람은 얼마나 한심한 사람입니까. 지팡이로 대갈통을 갈겨주고 싶습니다.
이 글을 읽으며 또 이야기의 핵심은 보지 못하고 '대갈통'이 뭐냐 방송에 적합하지 않다 머리라고 해라... 어쩌고 하며 '대갈통'만 바라볼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용. 아이고메~ 이쁜 대갈통 ⓒ최용우
more..  

[햇볕같은이야기3955] 2010.12.13.  지난호신청1995.8.12 창간발행 최용우

 자작글입니다. 저는 작권 안 따지니 맘대로 가져다가 활용하소서.

반응형

'햇볕같은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내일 일은 하나님 손에  (0) 2010.12.17
그럼, 누구 책임인겨?  (0) 2010.12.16
내가 원하는 우리나라  (0) 2010.12.11
내 뜻에 맞지 않는 사람  (0) 2010.12.10
삶은달걀과 소금   (0) 2010.12.09